본문 바로가기
철학(논술 배경지식)

불교 철학의 무아사상

by 범고래쌤 2023. 8. 31.
반응형

개론

무아사상(Madhyamaka)은 불교 철학 중 하나로, 주로 인도의 대표적인 불교 철학자인 나가르주나(Nāgārjuna)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철학은 "중도(中道)" 또는 "중립(中立)"이라는 의미의 말로, 모든 것의 본성이나 진리를 근본적으로 중립적이고 불변적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는 극단적인 사고나 고정된 개념에 의존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이고 무한한 변화의 과정에 놓여있다고 설명합니다.

 

 

 

 

주요개념


무아사상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

 


공허(śūnyatā): 무아사상의 중심 개념으로, 모든 현상과 객체의 본성은 공허하다고 주장합니다. 불교에서 '공'이라는 말은 한문의 빌공(空)의 의미로 '비어있다', 즉 채워진 것이 없기에 어떤 것으로도 변화 가능하다(불교의 '무상(無常)': 항상 계속되는 것은 없다)의 의미입니다. 이는 모든 것이 고정된 영구성이나 독립성을 가지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는 의미입니다.

 


무의미성(Anitya): 모든 것은 불변적이거나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모든 것은 무한한 변화의 과정에 놓여 있으며, 그로 인해 영원한 실재성을 갖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위의 무상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림삼가타(Anātman): 모든 것은 고정된 영혼이나 실체를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개인적인 아이덴티티나 실재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의존적인 관계의 결과라고 설명합니다.



마드현(Going Beyond): 무아사상은 어떤 사물이나 개념에 머물지 않고, 그로 인한 모든 사상을 뛰어넘어 진리를 찾으려는 태도를 강조합니다. 이는 극단적인 사고나 고정된 논리에 사로잡히지 않고, 중립적이고 개방적인 마음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아사상은 불교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서, 모든 존재의 본질과 세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려는 시도로 여겨집니다. 이는 개인적인 깨달음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 세상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 철학적인 틀 중 하나입니다.

 

 

위와 같이 불교 철학 중 무아사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